제약회사 QA vs QC vs 제조 – 역할 차이부터 커리어 방향까지 완벽 정리
제약회사 QA vs QC vs 제조 – 역할 차이부터 커리어 방향까지 완벽 정리제약회사 실무를 처음 접하거나 부서 이동, 복귀, 이직을 준비하고 있다면 가장 많이 헷갈리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이겁니다. “QA, QC, 제조… 뭐가 뭐야? 어떤 역할을 하지?” 이번 글에서는 제약회사 실무의 3대 축인 품질보증(QA), 품질관리(QC), 제조부서의 역할 차이, 업무 흐름, 실무 사례, 커리어 방향까지 정확하고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1. QA / QC / 제조 – 핵심 차이 요약표 2. 부서별 실무 흐름QA (품질보증) - GMP 전반을 통제하고 문서화 - 변경관리, 일탈관리, 교육 이력 관리 - 벨리데이션 및 문서 승인 - 실사 대응 자료 준비 및 인터뷰 참여 - 자재 및 제품의 최종 출하 승인 📌..
2025. 4. 21.
HPLC 컬럼 관리 방법 – 제약회사 QC 실무자를 위한 보관, 세척, 기록 가이드
HPLC 컬럼 관리 방법 – 제약회사 QC 실무자를 위한 보관, 세척, 기록 가이드HPLC(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제약회사 품질관리(QC)에서 가장 핵심적인 분석 장비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있는 **HPLC 컬럼(Column)**은 시험의 재현성과 정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적절한 관리와 기록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PLC 컬럼의 보관, 세척, 기록, 교체 기준까지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관리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HPLC 컬럼이란?HPLC 컬럼은 시료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상 충진관입니다. 시험 대상 성분이 컬럼을 통과하면서 분리되고, 검출기에서 분석 가능한 신호로 전환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컬럼은 C18(ODS) 계열 고가의 소모품이며, ..
2025. 4. 18.
보관검체와 참조검체의 차이, 보관기간 및 샘플 수량까지 완벽 정리
보관검체와 참조검체의 차이, 보관기간 및 샘플 수량까지 완벽 정리제약회사에서 출하 후 제품의 품질을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제품 시료를 일정 기간 보관하는 제도가 바로 **보관검체(Retained Sample)**와 **참조검체(Reference Sample)**입니다. 두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용도, 보관 방식, 규정 기준이 서로 다르며, 실사에서도 정확한 구분과 관리가 요구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관검체와 참조검체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하고, GMP 기준에 따른 보관기간, 샘플 수량, 실사 지적사항까지 상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보관검체 vs 참조검체 차이점국내에서는 대부분 보관검체 개념으로 통합 관리하지만, 수출 제품이나 해외 인증 대응 시에는 참조검체 개념을 별도로 운용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