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회사 정보

제약회사 실무 – Cleaning Validation 개요와 실무에서 자주 겪는 이슈들

by 넓고깊은지식인 2025. 4. 13.

  제약회사 실무 – Cleaning Validation 개요와 실무에서 자주 겪는 이슈들

의약품 제조 현장에서 세척은 단순한 청소가 아닙니다.
**제품 간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을 줄이고,
세척 절차의 적절성과 일관성을 입증하는 것이 바로 세척 밸리데이션(Cleaning Validation)**입니다.
오늘은 그 개념부터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이슈,
그리고 최근 경향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세척 밸리데이션

Cleaning Validation이란?

Cleaning Validation은 생산 설비 및 도구가 적절히 세척되어,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과학적이고 문서화된 절차로 입증하는 과정입니다.
✔ 단순히 “잘 닦았다”가 아니라,
→ “매번, 같은 조건으로, 오염 없이 잘 닦일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적용 대상
제품 접촉 부위가 있는 설비: 정제기, 혼합기, 충전기, 코팅기, 펌프 등
세척 도구: 브러시, 패드, 호스, 필터 등
이동식 용기, 보관기구: 스테인리스 탱크, 이송 컨테이너 등
✔ 제품 간 전환이 일어나는 다품목 생산 설비일수록 필수
✔ 전용 설비라 해도 미생물 오염, 세척제 잔류 등으로 밸리데이션이 필요할 수 있음

 

밸리데이션 핵심 구성 요소

지표 물질(Indicator compound) 선정
가장 독성 높거나, 세척 어려운 품목 기준 (Worst case 기반)
대표 제품 또는 낮은 용해도·높은 잔류 가능성 중심으로 선정
세척 방법(SOP) 표준화
세척제 종류, 농도, 접촉 시간, 헹굼 조건 등 정량적 명시
자동세척(CIP) or 수작업 여부에 따라 절차 차별화
잔류 허용 기준(Acceptance Criteria)
10 ppm 기준, 1/1000 최대 일일 복용량 기준, 용량 기반 허용치 등
미생물, 유효성분, 세척제 잔류 모두 포함

검출 방법

Swab test: 표면 직접 닦아 분석 (HPLC, UV, TOC 등)
Rinse test: 헹굼액 분석
통상적으로 Swab test를 기준법으로 채택
Validation Run
보통 3개 이상의 독립된 세척 시험을 반복 수행
회수율 시험, LOD/LOQ 검증, 오염물 분석까지 포함

TOC 분석의 최신 경향

예전에는 **TOC(Total Organic Carbon)**를 빠르고 간편한 분석법으로 많이 도입했지만,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Swab 중심의 운영으로 회귀하는 추세입니다:
TOC는 비특이적 분석법이기 때문에 어떤 오염물이 검출되었는지 구분이 어려움
장비 조건, 검출 민감도, 잔류 기준 설정이 까다로움
일부 현장에서는 TOC는 보조적 분석도구로 사용,
주 시험법은 Swab + HPLC/UV 기반으로 운영

요약: TOC는 보완적 수단으로 유지, 핵심 분석은 여전히 Swab 중심이 현재 기준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이슈들>
 - Swab 회수율 부족: 거친 표면, 파이프 내부 등에서 낮은 회수율 → Validation 실패
 - SOP와 실제 작업 불일치: 세척 시간/횟수 생략 → 실사 지적
- 지표물질 선정 미흡: worst case 조건을 선택하지 않고, 자주 쓰는 품목 위주 설정
- 기록 누락: 세척기록서, 로그북, 시료채취 시간 등 누락 시 GMP 위반

 - 재밸리데이션 미실시: 설비 변경, 제조 공정 변경 후에도 그대로 사용

실사 대응 포인트

지표물질 선정의 합리성: 왜 이 제품을 worst case로 설정했는지 설명 가능해야 함
시험법의 검출한계(LOD, LOQ) 확인: 검출되지 않았다는 말의 근거 필요
공정 조건 = 실제 조건: 문서 상 조건과 실제 세척 행위 일치 여부 중요
밸리데이션 주기/재평가 시점 정리: 변경관리(Change Control)와 연계된 흐름 필요
문서화 철저: Validation Protocol, Report, Sample Log, Test Result 정리 필수

마무리하며

Cleaning Validation은 “눈에 보이지 않는 오염까지도 통제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과정”입니다.
GMP 환경에서 세척은 단순한 청결이 아니라, 과학적 입증이 요구되는 핵심 공정입니다.
현장의 말 한마디보다,
“이 세척법은 모든 조건에서 유효하며,
그 결과는 검출 가능한 시험법으로 증명된다”
이 문장이 실사를 통과시켜줍니다.

※ 본 글은 GMP 실무 경험 및 최신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회사별 SOP에 따라 적용 방식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