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총정리! 조건, 수령액, 신청방법 한눈에 보기

by 넓고깊은지식인 2025. 5. 7.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총정리! 조건, 수령액, 신청방법 한눈에 보기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가 2025년에도 새롭게 시작됩니다.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10만 원 또는 30만 원을 추가 적립해주는 방식으로,
조건을 잘 지켜 3년간 유지하면 최대 1,4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예요.

신청 대상이라면 꼭 챙겨야 할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 신청 조건부터 수령액, 신청방법, 주의점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1.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16일(금)

신청처: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복지로 신청 홈패이지 바로가기

2. 신청 대상 (아래 3가지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

항목 기준 내용
나이 만 19세 ~ 34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만 15세 ~ 39세 가능)
소득 월 소득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 재산 | 가구 재산 2억 원 이하 |

3. 지원금 구조는 어떻게 되나요?

- 본인이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
- 정부가 매칭 지원금 정액으로 추가 적립

지원금 구조

📌 총 지원 기간은 3년이며, 조건 충족 시 전액 수령 가능

4. 3년 뒤 수령 가능한 금액은?

수령금액 정리 표

 5.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조건

정부 지원금을 받기 위해 아래 항목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통장을 3년간 유지
- 근로활동 지속
- 금융교육 10시간 이수
-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6.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 신청
- 시간: 24시간 가능
- 서류는 스캔 파일로 제출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 필요

▶ 오프라인: 주민센터 방문 신청
- 평일 09:00 ~ 18:00 운영
- 출력된 실물 서류 지참 필요
- 담당자 문의 가능
일부 지역은 사전 예약제 운영 중

7. 유의점

청 첫날 복지로 사이트 접속 지연 가능 → 여유 있게 신청 추천
중도 해지 시 본인 저축금은 환급되지만, 정부 지원금은 전액 회수됨
요건 일부 미충족 시 일부 지원금만 지급되거나 지원 제외될 수 있음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 불가!
👉 둘 중 **하나만 선택 가능하니 신중하게 판단하세요 - 청년도약계좌 비교 바로가기

마무리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순한 저축 통장이 아니라,
조건을 갖춘 청년에게 정부가 직접 지원하는 자산 형성 프로그램입니다.
근로 여부, 소득, 가구 재산 기준을 충족하고
3년간 꾸준히 저축을 이어갈 수 있다면
정부 지원을 통해 목돈을 만들 수 있는 확실한 기회죠.

🔗 더 알아보기
👉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수령액 계산 정리글 보러가기]


👉 [복지로 vs 주민센터, 어디서 신청할까? 꿀팁 정리]


👉 [청년도약계좌와 차이점은? 두 계좌 비교 총정리]